2013년 12월 22일 일요일

교부신학 배경 - 영지주의

2-3세기에 활동했던 가장 강력한 이단들 중의 하나였다. 이레니우스, 터툴리안, 히폴리투스 같은 교부들에 의해 알려진 무리이다. 이 교부들은 영지주의를 기독교와 이교의 철학, 점성술, 그리이스 비의 종교들과 혼합된 것으로 이해했다. 사도행전 8장에 나오는 사이먼 마구스를 영지주의 효시로 보았다.

# 하르낙: 영지주의는 기독교의 극단적 헬레니즘화다.

기독교 영지주의 이전에 유대교적 영지주의 무리들도 존재한 것으로 학자들은 추정한다. 영지주의는 유대교와 이교와 동방 종교들의 요소들을 혼합시킨 것이고 악과 인간의 운명이란 문제에 관한 해법과 관련하여 독특한 입장을 취한 사상들을 고안했다.

Valentinus

1) 만유 위에는 최고의 아버지, Bythos, Monad, Aeon이 거하고 그 옆에는 Ennoia인 침묵 Sige가 있다. 이들에 의해 세 쌍의 아이온들, 즉 Nous, Aletheia, Logos, Zoe, Anthropos, Ecclesia가 차례로 유출이 되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8계 ogdoad를 완성한다. 로고스와 조에에서 다시 다섯 쌍의 아이온들(10계)가 유출되고 인간과 공동체가 다시 여섯 쌍의 아이온(12계)를 유출한다. 이렇게 이루어진 30계가 하나님의 플레로마 Pleroma 혹은 충만을 구성한다.

2) 여기서 오직 독생한 누스만이 아버지를 알고 계시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 30계에서 가장 낮은 소피아 Sophia는 아버지의 본성을 알고자 하는 주체할 수 없는 욕망에 붙잡힌다. 소피아는 죄악된 욕망Entiumesis로 인해 진통을 겪는데 만약 플레로마 수호자로 임명된 호로스(Horos, 십자가)가 그녀에게 아버지는 이해될 수 없는 분이라는 것을 확신시켜 주지 않았다면, 만유 속으로 용해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소피아는 자시느이 욕망을 내버리고 플레로마 속에 그대로 머물렀다. 정신과 진리는 아버지의 명령으로 아버지에 대한 아이온의 진정한 관계를 아이온에게 가르치기 위해 새로운 한 쌍의 아이온인 그리스도/성령을 만든다. 이렇게 함으로써 질서가 회복되자, 아이온은 아버지를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고, 플로레마의 완전한 열매인 예수를 출산한다.

3) 전형적인 영지주의 특징: 사변과 신화를 적당하 융합하고 거기에 성경의 내용들에 관한 흔적들을 드문드문 삽입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어떤 조직이나 체계를 갖추지 않았다는 것도 특징이다.

4) 영지주의 학파들은 철저히 이원론적, 영적 세계와 물질적 세계의 무한한 간격, 물질의 세계는 본질적으로 악하다.

5) 물질 세계의 기원을 최고의 신, 빛과 선의 신에게 돌리기를 거부한다. 물질 세계는 태초에 있었던 어떤 무질서, 더 높은 영역의 어떤 갈등이나 타락의 결과임에 틀림없고, 물질 세계를 만든 자도 어떤 열등한 신 혹은 데미우르고스일 것이다.

6) 영지주의 무리들은 모두 인간 혹은 인류의 엘리트 계층에겐 영적인 요소가 있다고 믿었는데 이 세상에서 나그네의 위치에 처해 있기 때문에 물질에서 해방되어 본향으로 회귀하고 싶어한다.

7) 영지주의 무리들은 인간의 영적 요소가 본향에의 회귀를 희구할 수 있게 만드는 중개자가 하늘들을 거쳐 이 땅으로 내려오는 것으로 묘사했다. 중개자의 역할은 영적인 인간이 진리를 향하도록 문을 열어주는 것이다. "영적인 인간은 지식에 의해 구속함을 얻는다"(Marcus) "복음은 초현세적인 것들에 관한 지식이다."(바실리데스)

8) 어떤 사람이 영지적인 신화들을 그 진정한 내적 의미까지 모두 파악하면 자기가 누구이고 자기가 어떻게 현재의 상태에 처하게 되었으며 형설할 수 없는 최고의 신이 어떤 분인지를 깨닫게 되어야 비로소 사람의 속에 있는 영적 요소는 물질의 속박에서 해방되기 시작한다.

9) 발렌티누스 (Gospel of Truth)는 이 지식을 얻기 전에는 마치 술취한 사람처럼 멍청한 상태에서 비틀비틀 거리지만 지식 이후에는 취중에 든 잠에서 깨어나는 것과 같다고 묘사한다.

10) 이러한 영지주의 사상은 이레니우스, 클레멘스 2서, Theophilus의 Ad Autolycum 같은 2세기 작품들 안에서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클레멘스: 신앙을 철학적으로 파악하고 있던 기독인에게 '영지주의자'란 호칭을 아무런 거리낌도 없이 적용했다. 이단적, 비기독교적 영지들이 진정한 기독교적 영지들과 섞여 있었다는 것은 영지주의/기독교 사이의 구분이 어려웠던 당시의 상황을 잘 알려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