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나드 드 무어,
1) 말키우스 신학의 주석가가 되기 이전에 실천신학 교수였다.
2) 학생들이 교실에서 다룬 주제들의 종합이 말키우스 신학의 주석이다.
3) 말키우스 자신도 드 무어에게 부탁했다. 특정한 주제를 다루어 달라고.
마스트리히트
1) 설교는 신학의 실천적인 파트에서 코어이다. 신학의 궁극적인 핵심은 실천에 있다.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chapter
1. Much of recent research focuses on the integration and compatibility of scholastic method and practical piety.
2. What can be concluded from Marchius and then De Moor stating self-consciously that they will not handle theology with a practical section on every locus?
3. Does this methodological decision indicate a deeper problem as older scholarship alleges? An impermeable division into doctrine and practical piety?
다른 종류의 신학서적 저술도 교차독서 방식으로 서로 분리되지 않게 하는 독법이 가능했다.
A broad trajectory
1. Theology in its essence is practical
2. Theology in its method is theoretical-practical
3. Trajectory: Ames, Voetius, Hoornbeek, Marckus, De Moor
말키우스, 마스트리히트, 드 무어, 호른벡은 모두 에임즈를 뒤따른다.
마스트리히트: 이론과 실천을 병행하는 신학자로 인식된다.
그러나 방법에 있어서는 어떤 책은 이론적/변증적인 성격만을 가졌고, 어떤 책은 실천적/경건적인 성격만을 가진 책을 구별해서 저술했다.
신학은 설교이고 설교는 실천이다.
Theoretica-practico theologia는 설교의 최고 방법이다.
120페이지에 걸쳐
Medulla and The case of Conscience도 유사한 구조이다. 이론과 실천이 개별적인 책으로 구분되어 있다.
Marckius
How do various systems approach practical piety?
Separated from the main system
1) Ames: Medulla & Casus Conscientiae
2) Marckus: Compendium & Commentaries
3) De Moor: Perpetuus Commentarius & exegetical commentaries
Incorporated
1) Ames: Sciagraphia (HC를 주제별로 다룬 책이다)& commentaries
2) Hoornbeek: Theoretica practica
3) Mastricht: Theoretica-Practica Theologia
말키우스: Hobbes and Spinoza가 대단히 위협적인 존재라고 신학서론 논하면서 언급한다.
스콜라적 방법은 실천적 경건을 배제하지 않는다.
라이든의 대학은 어떤 것이었나 그 시대에?
말카우스, 4년동안 이사야만 다루었다. 지금의 시각으론 실망할지 모르겠다. 이사야 속에서 교리적 논제들을 다루었다.
푸치우스: 데카르트 철학에게 저항했고
말키우스: 스피노자 철학에게 저항했다. 연관성이 있는가?
우리는 방법론적 회의를 신학적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드 무어: 말키우스 논지를 강화했다.
헤어보른: 유화적인 데카르트 철학이 부유하고 있었다.
라이든/우트레히트 대학에서 각자의 고유한 교과과정 가졌는가?
드 무어는 두 기관에서 가르쳤다. 데카르트, 라이든 대학을 졸업했다.
Burman and Descartes 대화했다. 코케이우스는 데카르트에 대해 negative하지는 않았으나 데카르트 추종자는 아니었다. 푸치우스와 데카르트 사이의 갈등은 Pactum salutis와 관계되어 있다.
1) 말키우스 신학의 주석가가 되기 이전에 실천신학 교수였다.
2) 학생들이 교실에서 다룬 주제들의 종합이 말키우스 신학의 주석이다.
3) 말키우스 자신도 드 무어에게 부탁했다. 특정한 주제를 다루어 달라고.
마스트리히트
1) 설교는 신학의 실천적인 파트에서 코어이다. 신학의 궁극적인 핵심은 실천에 있다.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chapter
1. Much of recent research focuses on the integration and compatibility of scholastic method and practical piety.
2. What can be concluded from Marchius and then De Moor stating self-consciously that they will not handle theology with a practical section on every locus?
3. Does this methodological decision indicate a deeper problem as older scholarship alleges? An impermeable division into doctrine and practical piety?
다른 종류의 신학서적 저술도 교차독서 방식으로 서로 분리되지 않게 하는 독법이 가능했다.
A broad trajectory
1. Theology in its essence is practical
2. Theology in its method is theoretical-practical
3. Trajectory: Ames, Voetius, Hoornbeek, Marckus, De Moor
말키우스, 마스트리히트, 드 무어, 호른벡은 모두 에임즈를 뒤따른다.
마스트리히트: 이론과 실천을 병행하는 신학자로 인식된다.
그러나 방법에 있어서는 어떤 책은 이론적/변증적인 성격만을 가졌고, 어떤 책은 실천적/경건적인 성격만을 가진 책을 구별해서 저술했다.
신학은 설교이고 설교는 실천이다.
Theoretica-practico theologia는 설교의 최고 방법이다.
120페이지에 걸쳐
Medulla and The case of Conscience도 유사한 구조이다. 이론과 실천이 개별적인 책으로 구분되어 있다.
Marckius
How do various systems approach practical piety?
Separated from the main system
1) Ames: Medulla & Casus Conscientiae
2) Marckus: Compendium & Commentaries
3) De Moor: Perpetuus Commentarius & exegetical commentaries
Incorporated
1) Ames: Sciagraphia (HC를 주제별로 다룬 책이다)& commentaries
2) Hoornbeek: Theoretica practica
3) Mastricht: Theoretica-Practica Theologia
말키우스: Hobbes and Spinoza가 대단히 위협적인 존재라고 신학서론 논하면서 언급한다.
스콜라적 방법은 실천적 경건을 배제하지 않는다.
라이든의 대학은 어떤 것이었나 그 시대에?
말카우스, 4년동안 이사야만 다루었다. 지금의 시각으론 실망할지 모르겠다. 이사야 속에서 교리적 논제들을 다루었다.
푸치우스: 데카르트 철학에게 저항했고
말키우스: 스피노자 철학에게 저항했다. 연관성이 있는가?
우리는 방법론적 회의를 신학적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드 무어: 말키우스 논지를 강화했다.
헤어보른: 유화적인 데카르트 철학이 부유하고 있었다.
라이든/우트레히트 대학에서 각자의 고유한 교과과정 가졌는가?
드 무어는 두 기관에서 가르쳤다. 데카르트, 라이든 대학을 졸업했다.
Burman and Descartes 대화했다. 코케이우스는 데카르트에 대해 negative하지는 않았으나 데카르트 추종자는 아니었다. 푸치우스와 데카르트 사이의 갈등은 Pactum salutis와 관계되어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