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초반까지 개혁주의 신학의 경계선은 그리 뚜렷하지 않아서 Arminius도 개혁주의 진영에서 교수로 활동할 정도였다. 그러나 1618-1619 도르트 신조는 개혁주의 내에서의 신학적 엄밀성에 진일보를 내디뎠고 성경의 진리를 보다 정교하게 표상한 개혁신학 발전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도르트 논쟁의 발단은 예정론에 관한 것이지만, 교리는 단독으로 존립할 수 없었기에 결국 논쟁의 불씨는 신학 전반으로 번지고 말았다.
즉 도르트 회의는 신학의 방법론을 비롯하여 신론에서 종말까지 신학적 종합진단 성격을 지니되 여러 나라의 개혁신학 리더들이 참여한 일종의 '공의회'라 할 수 있겠다. Synopsis purioris theologiae는 그렇게 산출된 도르트 신조의 승리 신학자들 중심으로 1624년에 저술되고 도르트 논쟁에서 다루어진 신학 전반에 대한 개혁주의 입장을 규모있게 정리한 신학 편람이다.
이 책의 탁월성은 화란의 최대 개혁주의 신학자 헤르만 바빙크가 제자들을 위해 1881년 자신의 서문을 실어서 재출간한 사실에서 확인된다. 링크된 것은 1642년/1881년 판본이다. 개혁주의 신학 원전으로 돌아가 보다 엄밀한 개혁신학 경험하고 싶으신 분들은 손아귀에 넣으시면 되겠다. 스캔상태 약간 삐딱하다. 그래도 활자상태 양호하다.
Synopsis purioris theologiae (1642)
Synopsis purioris theologiae (1881)
즉 도르트 회의는 신학의 방법론을 비롯하여 신론에서 종말까지 신학적 종합진단 성격을 지니되 여러 나라의 개혁신학 리더들이 참여한 일종의 '공의회'라 할 수 있겠다. Synopsis purioris theologiae는 그렇게 산출된 도르트 신조의 승리 신학자들 중심으로 1624년에 저술되고 도르트 논쟁에서 다루어진 신학 전반에 대한 개혁주의 입장을 규모있게 정리한 신학 편람이다.
이 책의 탁월성은 화란의 최대 개혁주의 신학자 헤르만 바빙크가 제자들을 위해 1881년 자신의 서문을 실어서 재출간한 사실에서 확인된다. 링크된 것은 1642년/1881년 판본이다. 개혁주의 신학 원전으로 돌아가 보다 엄밀한 개혁신학 경험하고 싶으신 분들은 손아귀에 넣으시면 되겠다. 스캔상태 약간 삐딱하다. 그래도 활자상태 양호하다.
Synopsis purioris theologiae (1642)
Synopsis purioris theologiae (1881)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댓글 남겨 주셔서 감사해요~~ ^^